<p></p><br /><br /><p>[앵커]<br>Q. 여랑야랑 성혜란 기자와 시작합니다. 여야 잠룡들, 물음표가 많네요? <br><br>야권에선 조기대선시 여권의 어떤 후보가 나와야 더 유리할 지 설왕설래 말들이 나오고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가상 양자대결에서 이 대표, 오차범위 내 접전도 벌어지다 보니까요. <br> <br>Q.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 대표 양자대결, 접전인가요? <br> <br>네. 오늘 한국갤럽 조사 결과 보면 오 시장은 43%로 47%인 이 대표와 오차범위 내 접전이었습니다. <br> <br>Q. 김문수 장관도 얼마 전 박빙이었는데요. <br><br>그랬죠. 얼마 전 김 장관과 이 대표 오차범위 내 접전 나왔죠. <br> <br>하지만 오늘 나온 조사에선 김 장관, 13%p차로 이 대표에 뒤지는 걸로 나왔습니다.<br> <br>Q. 민주당 입장에선 누가 더 어렵다고 해요? <br><br>우상호 전 의원은 이 사람을 꼽았습니다. <br><br>선거에 강하다고요. <br><br>[오세훈 / 서울시장 (지난달)] <br>"오세훈이 좀 화끈하게 몬하나, 단디해라! 그러나 효자는 선거 이기는 바탕을 만드는 사람..."<br><br>[우상호 /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(지난달, YTN라디오 '뉴스FM 이익선 최수영 이슈앤피플')] <br>"지난번 대선에서 0.74% 패배했던 원인은 서울입니다. (이재명 후보가) 서울에서 졌습니다. 서울에서 이겨야만 이번 대선을 승리할 수 있어요. 오세훈 후보가 서울에서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일 경쟁력이 있다고 보죠."<br><br>Q. 서울 표가 중요하다는 거군요. <br><br>또 다른 야권 관계자도 "중도층에 강한 유승민 전 의원, 오 시장이 싸우기 어렵다"고 했습니다.<br> <br>보수세 강한 홍준표 시장, 김문수 장관은 상대적으로 쉽다고요. <br><br>결국 승부처는 중원 다툼이 될거란 건데, 뚜껑은 열어봐야 알겠죠.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일타강사 전한길 씨와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인데요. 정면으로 붙었어요? <br><br>민주당, 전한길 강사의 영상을 유튜브에 신고한 후엔 별다른 대응 없었죠. <br> <br>하지만 전 강사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자 최고위에 소환했습니다. 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극우가 점입가경입니다. 영상 보겠습니다."<br> <br>[전한길 / 한국사 강사 (그제)] <br>"국민들이 헌재를 휩쓸 것이고, 그 모든 책임은 불의한 재판관들에게 돌아갈 것입니다."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부산 집회에선 헌재를 휩쓸자는 주장과 국힘 의원들의 맞장구가 난무했습니다."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최근 광화문파와 여의도파 상호비난의 배경에 다단계 이권 다툼이 있다는 극우 유튜버들의 분석조차 나오고 있습니다."<br><br>Q.극우라고 콕 찍었네요. <br><br>전한길 강사는 극우가 나눠졌다는 민주당 주장에 이렇게 반박하더라고요. <br> <br>[전한길 / 한국사 강사 (오늘, 여랑야랑 취재)] <br>"그들이 역시 갈라치기 하는 거죠. 약화시키려고 극우라고 프레임 씌우는 것도 마찬가지고요. 전한길이는 심지어 노사모 출신인데 그럼 노사모도 극우냐 그러면 답변해 보라고"<br><br>Q. 야당이 씌운 프레임이라는 거네요. 전 강사에 야권도 관심을 가지는 것 같아요. <br><br>야권은 전 강사가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고 저격했는데요. 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결국 누가 더 극단적인가를 겨루는 폭력 경쟁으로 치달을 것입니다."<br> 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의원 (오늘,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, 김영수입니다)] <br>"거짓 위에 자꾸 거짓을 쌓아 올리다 보니까 전한길씨도 이게 위험한 지점으로 가고 있는 거거든요."<br><br>전 씨는 "야권의 공격에 물러설 생각이 없다"며 유튜브에 추가 영상도 올리고 전국 돌며 집회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Q. 주제 하나 더 보겠습니다. 박선원 민주당 의원, 노벨평화상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바쳐요? <br><br>오늘 본회의장에서 국정원 1차장 출신 박 의원의 메모장이 포착됐는데요. <br> <br>'트럼프 노벨평화상 추천서'라는 글자 보이시죠. <br> <br>노르웨이 위원회에 제출, 접수 완료라고도 써있고요. <br> <br>'미국 측에 통보' 옆엔 당분간 비공개라는 단서가 붙었고, '백악관에 보고 예정'이란 문구도 적혀 있었습니다. <br><br>Q. 접수를 이미 한 거에요? 노벨평화상, 한국 국회의원도 추천할 수 있나보죠? <br><br>각국 정부 관료나 국회의원, 각 분야 석학들에게 추천 자격 주어지는데요. <br> <br>지난달 31일까지 추천기한이었는데, 지난달 30일 추천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"트럼프 대통령이 북미대화 등 한반도 안보를 풀어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"고요. <br><br>Q. 당 지도부도 알고 있고요? <br><br>이 대표와 김민석 최고위원에게도 공유했다는데, <br> <br>박 의원이 메모장을 들고 함께 이야기나누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트럼프 노벨상은 민주당 지도부도 그동안 언급해왔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해 11월)] <br>"(러시아-우크라) 종전이 실현된다면,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노벨평화상 추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…"<br> 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지난해 11월)] <br>"50일 후 트럼프 취임 전에 판을 바꿉시다. 트럼프에겐 평화로 노벨상을 권합시다."</p><p>Q. 요즘 미국에 공을 많이 들이네요.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이 노벨상에 적절하냐고 반문하는 기자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Q.선거부정도 했던 사람이고 국회의사당 폭동을 석방도 해줬던 사람인데...<br> <br>[조승래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(오늘)] <br>"의견은 다양할 수 있으니까"<br><br>제1야당의 새로운 외교행보, 원칙과 책임도 뒷바탕될지 지켜봐야겠죠. (원칙외교) <br>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성혜란 기자, 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신유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서의선, 이서우</p><br /><br /><br />성혜란 기자 saint@ichannela.com